오늘(4/15) 나스닥 지수가 2.14% 추락했습니다. 어제 2.03% 오른 만큼을 그대로 뱉어낸 것인데요, 이러한 상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 본 포스팅은 유튜브 JD부자연구소의 콘텐츠를 정리한 글입니다.
뉴욕마켓워치?
<뉴욕 마켓워치>에서 5월 50bp 이상 재부각, 주식과 달러가 하락세라는 기사가 있습니다. JD 부자연구소에서는 항상 화제를 뉴욕 마켓워치에서 가져오십니다. 뉴욕 마켓워치는 연합인포맥스의 한 타이틀로 세계의 경제 흐름을 빠르게 알 수 있도록 올려주는 곳입니다. 연합인포맥스는 실시간 금융정보를 올려주는 사이트입니다. 조던 김장섭 님의 이야기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뉴욕 마켓워치를 꾸준히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
나스닥 2.14% 하락
나스닥뿐만 아니라 S&P500지수와 다우존스 지수도 사이좋게 하락했습니다. 인플레이션이 이제 시작한 걸까에 대해 다루었습니다.
CPI 지수가 4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PPI지수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. CPI 지수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의 포스팅을 읽어봐 주시면 감사합니다.
미국 CPI 지수 상승 :: CPI 의미
우려했던 대로 미국의 cpi지수는 크게 상승했습니다. 이로 인해 미국 증시(s&p500)는 하락으로 마감했고(4/12), 인플레이션에 대한 긴장감이 계속해서 고조되고 있습니다. cpi지수에 대한 근황과 뜻
smileour1208.tistory.com
미국의 ppi가 올랐다는 이야기는 원자재 가격 부담이 올랐다는 이야기입니다. ppi는 cpi보다 선행합니다. 생산을 먼저 하지 소비를 먼저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 이 말은 즉슨 ppi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니 다음 달 cpi는 더 높을 전망이라는 이야기입니다. 어제 나스닥 지수가 오른 것은 이번에 발표된 cpi 지수가 정점이라는 기대감에 오른 것인데, 5월에 더 높을 것이란 전망이 있다면 사람들은 다시 불안감으로 휩싸이게 됩니다.
인플레이션 수혜주
결론부터 말하면 한국의 보험 주식입니다. 종신보험을 많이 판 보험회사입니다. 1997년 IMF를 맞고 대출받기가 힘들어지며 은행은 줄도산에 휩싸였습니다. 엄청난 고금리였습니다. 10%가 넘는 금리를 약정된 기간에 지급해야 합니다. 2001년 중국이 WTO에 들어오며 저금리가 시작되었습니다. 중국이 막대한 규모의 공장을 통해 디플레이션을 유발했기 때문입니다. 보험회사에는 비상이 걸리게 됩니다. 종신보험에 든다면 2~3% 낮은 이자를 받아 10%대의 연금을 주어야 하는 역마진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.
이러한 저금리 기조는 보험회사는 주가가 바닥을 쳤습니다. 하지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금리가 계속해서 올라가고 한국 국채는 더 많이 올라갑니다. 한국의 30년 물, 50년 물 국채로 위기를 헤지 할 수 있습니다. 단기가 아닌, 장기적으로 보험회사는 오를 수 있는 여건이 있다고 합니다.
국내 보험 주식을 알아보러 가야겠습니다.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슬라 실적 발표 :: 시간외 거래 시세 폭등 / 테슬라 주가 전망 (0) | 2022.04.21 |
---|---|
미국 CPI 지수 상승 :: CPI 의미 (0) | 2022.04.13 |
삼성전자 주가 전망 :: 슈퍼개미 김정환 / 전인구 경제 연구소 (0) | 2022.04.11 |
달러 투자 방법 :: [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] 도서 리뷰 (feat. 빅맥지수) (0) | 2022.04.08 |
메타버스 전망 :: JD 부자연구소 정리글 (0) | 2022.04.05 |
댓글